미국 제조업의 리쇼어링과 니어쇼어링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은 세계 제조업의 중심지로서 자신의 입지를 다시 확립하기 위해 리쇼어링과 니어쇼어링이라는 두 가지 전략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리쇼어링은 미국 외부에 있는 제조공장을 미국 내부로 이전하는 것이고, 니어쇼어링은 인접 국가로 생산지를 이전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미-중 무역전쟁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공급망에 혼란이 생긴 상황에서 미국의 공급망 안정화와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미국 제조업의 리쇼어링과 니어쇼어링 전략
리쇼어링: 미국으로 돌아오는 제조업
리쇼어링은 오프쇼어링의 반대 개념입니다. 오프쇼어링은 인건비가 낮은 국가에 제조공장을 두는 전략으로, 중국이 세계의 공장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미-중 갈등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중국에 의존하는 공급망에 위기가 찾아왔습니다. 컨테이너 운송비가 폭등하고, 선박 운항이 지연되고, 관세와 제재가 부과되면서, 중국에서 생산한 제품들이 미국 시장에 공급되기 어려워졌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자신의 경제 안보와 국가 안보를 위해 제조업을 다시 미국으로 돌아오게 하려고 합니다. 특히 반도체, 배터리, 전기자동차와 같은 첨단 산업은 미국의 기술 우위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분야입니다. 따라서 미국 정부는 이러한 분야에 대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바이든 정부는 2021년 6월 8일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과시켰습니다. 이 법은 미국 내에서 제조되는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등에 대해 최대 30%의 세금 공제 혜택을 주는 것입니다. 또한, 미국 정부는 2021년 6월 9일 반도체 법을 통과시켰습니다. 이 법은 미국 내에서 반도체 생산과 연구에 대해 520억 달러의 지원금을 주는 것입니다. 이 법은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을 강화하고, 중국의 반도체 독점에 대항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지원 정책의 효과는 이미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에는 세계적인 기업들이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기존 공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백악관은 자신의 홈페이지에 미국 투자기업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이 현황에 따르면, 세계 민간기업들은 미국에 5,030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 중 반도체 및 전자가 가장 많아 2,310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고, 전기차 및 이차전지에도 1,330억 달러가 투자되고 있습니다. 미국 지도의 점들을 클릭하면 어느 기업이 얼마를 투자하고 있는지가 나옵니다. 익숙한 기업들이 많이 보입니다.
기업명 | 투자금액 | 투자분야 | 투자지역 |
---|---|---|---|
삼성전자 | 170억 달러 | 반도체 | 텍사스 |
SK 이노베이션 | 26억 달러 | 배터리 | 조지아 |
LG 에너지 | 45억 달러 | 배터리 | 오하이오 |
한국타이어 | 16억 달러 | 타이어 | 조지아 |
현대차와 SK | 70억 달러 | 전기차 | 조지아 |
현대모비스 | 2억 달러 | 자동차 부품 | 앨라배마 |
한화 큐셀과 OCI | 7억 달러 | 태양광 | 조지아 |
CS 윈드 | 1억 달러 | 풍력발전기 | 일리노이 |
이렇게 일자리가 계속 늘어나니, 미국의 실업율이 높아지지 않는 것입니다. 일자리 자체도 자동차와 반도체, 이차전지등 양질의 일자리입니다. 미국은 2019년부터 빠른 속도로 일자리가 돌아오고 있습니다. 2010년에는 6,011개의 일자리가 미국으로 돌아왔지만, 2019년 110,250개, 2021년 265,337개, 2022년 348,493개 일자리가 돌아 왔습니다.
니어쇼어링: 인접 국가로 이동하는 제조업
미국으로 제조업이 돌아오는 리쇼어링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미국과 같이 인건비가 비싼 나라는 제조업이 돌아오는 리쇼어링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미국은 자동차와 배터리등 핵심산업은 리쇼어링을 진행하지만, 인건비 비중이 높은 기타 제조업은 니어쇼어링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니어쇼어링은 인접 국가로 생산지를 이전하는 전략입니다. 미국의 경우, 멕시코가 가장 큰 니어쇼어링 파트너가 되고 있습니다.
미국과 한국의 상호 혜택
미국과 한국은 서로에게 상호 혜택을 주는 관계입니다. 미국은 한국에게 다음과 같은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 안보: 미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한국에 2만 8천 명의 주둔 군인과 최신 병기를 배치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한국과 공조하여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고 있으며, 한미동맹의 강화를 위해 정기적으로 연합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한국의 안보를 보장하는 우방이자 파트너입니다.
- 시장: 미국은 한국에게 열린 시장과 자유무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2년부터 시행된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은 양국간의 교역과 투자를 확대하고, 상호 경제적 이익을 증진시켰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미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시장이자 최대 투자원이며, 한국은 미국의 여섯 번째 수출시장이자 여섯 번째 투자처입니다. 미국은 한국의 경제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파트너입니다.
- 기술: 미국은 한국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인정하고 지원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등 첨단 산업에서 리쇼어링을 추진하면서, 한국 기업들에게 많은 투자와 협력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백악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미국 투자기업 현황에는 삼성전자, SK 이노베이션, LG 에너지 등의 한국 기업들이 많이 보입니다. 또한, 미국과 한국은 과학기술, 교육,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한국의 기술 혁신과 창의력을 존중하고 도움을 주는 동반자입니다.
한국은 미국에게 다음과 같은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 안보: 한국은 미국의 전략적 이익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재균형 전략의 핵심 파트너이며, 중국과 북한에 대한 저지력과 균형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과 함께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기여하고 있으며, 테러, 화학무기, 해적 등의 비전통적인 위협에도 대응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의 안보를 지원하는 신뢰할 수 있는 동맹입니다.
- 시장: 한국은 미국에게 열린 시장과 자유무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미FTA는 미국의 수출과 투자를 증가시켰으며,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확대시켰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은 미국의 여섯 번째 수입시장이자 여섯 번째 투자원이며, 미국은 한국의 최대 수입시장이자 최대 투자처입니다. 한국은 미국의 경제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파트너입니다.
- 기술: 한국은 미국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등 첨단 산업에서 세계적인 선두주자이며, 미국과 협력하여 공급망을 안정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또한 인공지능, 바이오, 5G 등의 신기술 분야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으며, 미국과 공동연구와 개발을 통해 기술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의 기술 혁신과 창의력을 촉진하고 보완하는 파트너입니다.